광고
광고
광고

[기획 칼럼] 민자사업 해외 전략적 과제㉘-PPP Project의 Project Management(Ⅳ)

이재성 경영학 박사
CP³PⓇ Approved Trainer국제공인민자전문가

이재성 박사 | 기사입력 2024/08/28 [14:23]

[기획 칼럼] 민자사업 해외 전략적 과제㉘-PPP Project의 Project Management(Ⅳ)

이재성 경영학 박사
CP³PⓇ Approved Trainer국제공인민자전문가

이재성 박사 | 입력 : 2024/08/28 [14:23]

[국토매일=이재성 경영학 박사] 민자사업의 프로젝트관리는 성공 요소들이 많이 있겠지만,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면, 다음의 일곱 가지를 조화롭게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본다.

  

▲ 이재성 경영학 박사     ©국토매일

지난 기사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한, PRINCE2 프로젝트관리방법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Practices(실무)이기도 하다.

1. Business Justification(사업타당성)

2. Organizing(조직화)

3. Plan(계획)

4. Quality(품질)

5. Risk(리스크)

6. Issue(문제점)

7. Progress(진도)

 

이 일곱 가지 실무는 유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 어느 하나도 가볍게 다룰 수 없는 성격을 띄고 있다. 오늘의 기사에서는 특히 조직화에 대해서 조금 더 역점을 두어 언급하고자 한다. 이것은 한국의 조직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조직화는 프로젝트관리 팀의 조직구조와 역할 분담 그리고 책임과 권한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PRINCE2에서는 프로젝트 팀(Project Management Team)을 네 단계로 제시한다. 조직의 전략 실행의 최고 정점으로서 Business Layer(기업의 최고경영층, 정부행정 조직의 정책결정자), 프로젝트의 최고 집행책임자(Project Executive), 프로젝트 관리의 실무책임자(Project Manager), 프로젝트 작업 관리자(Team Manager)의 네 가지 Position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행해지고 있는 Project Management 교육 및 실무 현장을 되돌아보면, 프로젝트관리는 능력 있는 Project Manager가 계획 수립 및 실행에서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거의 대부분 업무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이런 초능력자는 있기 어렵다. 그래서 말은 프로젝트관리를 한다고 하는데, 되는 것이 별로 없다. 상당한 실패 요인이 바로 조직 즉 Organizing이 겉돌기 때문이다.  

 

Business Layer는 기업 전략이나 국가 정책에 의거하여,  Project Mandate(프로젝트 명령서, 또는 프로젝트지시서)를 발행하고, 이 사업을 집행할 수 있는 적임자 즉 Project Executive와 Project Manager를 임명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분야가 바로 Project Executive와 Project Manager의 관계이다. 한 마디로 말한다면, Project Executive는 프로젝트 핵심 관리요소들에 대한 의사결정자이고, 사업의 성패에 대한 책임을 진다(Be Accountable). 

 

반면 Project Manager는 Project Executive가 승인한 계획의 범위 안에서,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예산 및 공기 등에서 승인 받은 범위(Tolerance)를 초과하면, 즉시 초과 또는 초과 예상 상황을 보고하여, Project Executive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 이것을 다르게 표현하면, Project Executive가 승인한 계획을 실행하는 것에 주된 책임이 있는 것 이다.(Be Responsible)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 시작 시점에서 프로젝트 전체 계획 (Project Plan)을 승인받지만, 실행은 단계별로 별도의 승인을 받아서 진행하는데, 이것은 Manage BY Stage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실행 승인을 받은 것을 Stage Plan이라고 한다. 이렇게 단계별로 집행을 승인받고, 결과보고를 함으로써, 다음 단계를 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아주 현명한 관리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의도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를 정기적으로 확인함으로서, 원래의 사업타당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Project Manager와 Team Manager의 관계를 보기로 하자. Team Manager는 일반적으로 기술을 배경으로 한 전문직의 성격을 띄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해외에 건설하는 발전소 Project를 상정해 본다면, Engineering을 담당하는 Engineering Team Manager, 기자재 제작과 조달을 담당하는 Equipment Team Manager, 해외 건설 현장에서 시공을 담당하는 Construction Team Manger, 그리고 시운전을 담당하는 Commissioning Team Manager 등 이들은 모두 Project Manager와 협약을 맺고 그 조건에 따라 실행하며, 정기적으로  Checkpoint Report(실행보고서)를 제출한다.

 

Team member는 Team Manager의 지시와 감독에 따라 프로젝트 작업을 수행하는 인력을 말한다.

 

프로젝트관리 팀의 여타의 역할과 책임은 다음 칼럼에서 보기로 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