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견인

스마트 건설 엔지니어링 집중육성…대가 현실화 추진

김영도 기자 | 기사입력 2020/09/04 [13:46]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견인

스마트 건설 엔지니어링 집중육성…대가 현실화 추진

김영도 기자 | 입력 : 2020/09/04 [13:46]

▲ 제113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가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3일 열렸으며 회의는 서울과 세종 영상회의로 진행됐다(사진=정책브리핑).     ©국토매일

 

[국토매일 김영도 기자] 정부가 시공위주의 건설산업을 고부가가치 건설 엔지니어링 중심으로 전환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국토교통부는 3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13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미래 건설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의 전략적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

 

국내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은 시공 위주에 머물러 통합영역 진출이 미흡한 실정으로 이미 선진국은 단순 시공을 넘어 설계, 시공 등 전 과정 통합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어 국내 건설 엔지니어링 산업의 체질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국토부는 이 자리에서 국내 건설 산업을 시공을 위한 단순 설계에 치중하지 않고 전통적 건설기술과 ICT를 통합하는 고부가가치 건설 엔지니어링 중심으로 전환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국토부의 건설 엔지니어링 체질개선 방향은 업역 칸막이 제거를 통한 융합과 통합을 기초로 가격 중심의 시장에서 기술 중심 시장으로 전환시키고 해외 수주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기본 전략이다.

 

첫 번째로 건설 산업 전반을 총괄 관리하는 통합사업관리를 도입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업종으로 종합 건설엔지니어링업을 신설하는 등 제도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먼저 건설 엔지니어링 등록과 신고 체계 간소화를 위해 산업부와 협의를 거쳐 그동안 누적돼 오던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로 했다.

 

아울러 설계사는 시공 역량을, 시공사는 사업관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시공 책임형 CM과 기술형 입찰 등을 시범 사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협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입찰부터 사업 수행까지 건설 전 분야의 실적 관리 고도화도 추진한다.

 

설계, 감리 등 분야별 국내 실적 관리를 하고 있는 건설기술관리협회의 업무를 해외 포함 건설 전 분야의 실적을 관리할 수 있는 기반으로 확대 개편하고 공제조합 보증 범위도 타 공제기관과 협의해 확대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가격 중심에서 기술 중심 사업으로 시장 구조를 전환해 젊은 기술자들의 시장 인입을 유도하는 등 선순환적인 시장 구조를 조성한다.

 

기술 중심의 발주 체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기업의 수주실적과 기술력을 평가하기 위한 '설계능력평가제‘와 기술인 평가시 숙련도와 프로젝트 역할 등을 입찰 과정에서 서면이나 심층 면접을 통해 기술인의 전문성과 역량을 차등평가하고 결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교육시장 평가제’ 등을 도입한다.

 

특히 건설기술진흥법과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에 따른 요율 방식 혼용 및 예산 부족 등으로 대가지급 비현실화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해 실비 방식과 장단점 등을 따져 대가 현실화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기관의 경쟁력 촉진과 드론측량, BIM, 무인ㆍ원격 장비, IoT 센서관리 등 건설 공정에서 융합ㆍ적용 가능한 ICT 스마트 건설 기술을 확대하고 계약ㆍ법률 등 해외사업 전반 역량 등 교육 컨텐트도 미래 변화에 맞게 개편하기로 했다.

 

특히, BIM 설계 적용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과 운영 토대를 마련하고 스마트 기술을 현장에 확대하기 위해 인증제도를 도입해 인센티브 확대, 스마트 신기술 R&D 등을 성과있게 추진한다.

 

건설엔지니어링 고도화를 위한 세 번째 전략 방안은 해외수주 지원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다.

 

국제개발협력사업(ODA)을 통해 스마트시티ㆍ자율주행도로 등 우리나라 강점분야 중심으로 건설 엔지니어링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시장교섭ㆍ타당성 조사 등의 지원도 마련한다.

 

아울러 건설엔지니어링 업체가 국내 공기업, 시공사 등과 공동 진출할 수 있도록 팀코리아 구성을 지원하고 비대면 화상회의 등을 통한 발주처 면담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고할 방침이다.

 

더불어 2022년까지 해외건설산업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에 분산된 정보시스템을 통합 운영하면서 국가별 리스크ㆍ주요 발주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